본문 바로가기
독서/책 리뷰

<책리뷰> 진짜 부자 가짜 부자 - 1편

by 공라마 2020. 8. 30.
반응형

 

회계사이자 재테크 관련 유명 강사인 사경인 작가의 책입니다.

이 분은 유튜브를 통해서 처음 알게 된 분인데요. 찾아보니 책을 여러 권 작성하셨더군요. 저자는 회계사가 되고 나서 마이너스 통장을 쓸 수 있었고 그로 인해 돈을 많이 쓰게 되었다고 합니다. 본인이 버는 돈만큼이나 소비를 했고, 아내와 결혼하고 나서도 통장은 마이너스였다고 하네요. 결혼에 드는 비용조차도 마이너스 통장을 통해서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이후 그는 돈을 버는 방법을 찾기 시작하고, 기준을 시스템 소득과 시스템 소득이 아닌 것으로 나누어 생각하게 됩니다. 

이 책에서 시스템 소득을 늘리는 방향으로 가는 방법과 시스템 소득을 만들기 위한 자본금을 만들기 위해서는 얼마의 시간동안 얼마나 넣어야 하는지에 대한 계산법을 알려줍니다.

그럼 간단하게 내용 정리해보겠습니다.

 

 

#아주 쉬운 부자 방정식

 

회계원리 시간에 배우는 몇 가지 방정식이 있다. 주로 덧셈과 뺄셈으로 이뤄진 아주 간단한 식인데, 예를 들면 이렇다.

 

자산 - 부채 = 자본

수익 - 비용 = 이익

 

이제 이 부자 방정석을 통해 자산을 계산해보자.

 

 

#가지고 있는 재산이 얼마나 되는가?

 

일단 본인이 가지고 있는 자산이 얼마인지 아는가? 적어보자

또 본인이 가지고 있는 자본의 규모는? 이 역시 적어보자

 

#부자 방정식 1:

자산 - 부채 = 순자산

 

재테크 계획을 세우는 사람들 중 시작부터 잘못된 경우를 종종 본다.

재테크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세우는 것이다.

 

6개월에 1000만원 모으기

5년 안에 종잣돈 1억 만들기

집, 차 , 현금 10억

 

쓰고 남는 돈으로 저축을 해서는 도저히 어려울 것 같아 적금에 가입해 돈이 강제로 모이게 하고, 나머지 돈으로만 생활하겠다고 독한 마음을 먹는 것이다. 그런데 돈이 부족하면 어떻게 되나? 결국 신용카드 할부나 현금서비스를 활용하게 된다. 

 

재테크의 기준과 목표는 자산이 아니라 자본, 즉 순자산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현재 내 순자산이 얼마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당신의 현재 자신이 6,000만원이고, 부채가 2,000만 원이라고 해보자. 5년 뒤 순자산 1억 원을 만들고 싶다면 1년에 얼마씩 모아야 할까? 

 

순자산 4,000만원이므로 6,000만 원을 5년 동안 모아야 하므로 1년에 1,200만 원씩 모아야 한다.

1년에 1,200만원을 모으려면 한 달에 100만 원씩 저축해야 한다. 수입이 월 250만 원이라면 150만 원으로 생활비를 어떻게 쓸지, 반드시 필요한 항목에 예산을 얼마나 배분할지 계획해 나가는 게 재테크의 첫 번째 단계이다.

 

적다 보니 내용이 길어져서 몇 편으로 나누어서 작성해보겠습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막연한 목표금액이 아니라 그 금액을 위한 투입금액, 수익률 등을 생각해보게 되었네요.

반응형

댓글